티스토리 뷰
전세자금 혹은 월세 보증금을 빌린다면 가장 먼저 이자를 적게 내는 전세자금 대출 상품을 찾아 최대한 많이 빌리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돈은 신용대출 혹은 예금·적금·주택청약 등의 담보대출 등을 활용하는 게 좋은데요.
오늘은 연 소득에 따라 낮은 금리로 전세자금을 빌려주는 주택도시기금 상품을 소개드리겠습니다.
연소득 3500만 원 이하라면?
혼자 벌어 연 소득 3500만원 이하 또는 결혼해 둘이 벌어 연소득 5000만 원 이하이면서 중소·중견기업 직원 또는 청년창업자일 경우엔 '중소기업 취업 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을 받을 수 있는데요.
- 최대 한도 : 1억 원
- 대출 기간 : 2년 (4번 연장해 최장 10년
- 최저 금리 : 연 1.2%
그 밖의 조건
✔부동산 임대차 계약을 맺은 뒤 월세 보증금 또는 전세자금의 5% 이상을 지불했다는 서류가 있어야 합니다.
✔집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무주택자에, 가구를 대표하는 세대주여야 합니다.
✔2022년 기준 보유 중인 자산(자동차, 부채 등)이 3억 250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연소득 5000만 원 이하라면?
혼자 벌거나 부부 합산으로 연 소득 5000만원 이하이거나 연 소득 6000만 원 이하인 신혼부부, 다자녀 가구 등인 경우엔 '청년 전용 버팀목 전세자금(청년 버팀목 전세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최대한도 : 최대 7000만 원 or 전세금액의 80% 중 낮은 금액
- 대출 기간 : 2년 (4번 연장해 최장 10년)
- 최저 금리 : 연 1.5~2.1%
그 밖의 조건
✔ 부동산 임대차 계약을 맺은 뒤 월세 보증금 또는 전세자금의 5% 이상을 지불했다는 서류가 필요합니다.
✔집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무주택자에, 가구를 대표하는 세대주여야 합니다.
✔2022년 기준 보유 중인 자산(자동차, 부재 등)이 3억 250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청년 요건(만 19~34세)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혼자 벌거나 부부 합산으로 연 소득 5000만 원 이하이거나 연 소득 6000만 원 이하인 신혼부부, 다자녀가구 등인 경우엔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최대한도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인 경우 1억 2000만 원
-비수도권인 경우 8000만 원
-자녀가 2명 이상이면서 수도권인 경우 2억 2000만 원
-자녀가 2명 이상이면서 비수도권인 경우 1억 8000만 원 - 대출 기간 : 2년 (4번 연장해 최장 10년)
- 최저 금리 : 연 1.8~2.4%
그 밖의 조건
✔부동산 임대차 계약을 맺은 뒤 월세 보증금 또는 전세자금의 5% 이상을 지불했다는 서류가 있어야 합니다.
✔집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무주택자에, 가구를 대표하는 세대주여야 합니다.
✔2022년 기준 보유 중인 자산(자동차, 부채 등)이 3억 250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요건에 해당되지 않거나 더 많은 돈을 빌려야 한다면?
시중은행의 전세자금 대출 상품을 알아봐야 합니다. 가장 낮은 금리로 월세 보증금 또는 전세자금을 빌리기 위해 은행마다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냐, 없냐를 따져 보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의 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석 장보기 전에 꼭 읽으세요. 안보면 손해입니다." 정부 추석 할인 지원 (+신청 방법) (0) | 2022.08.12 |
---|---|
"지원금만 무려 780만원, 신청 안 하면 무조건 손해입니다." (+신청 방법) (0) | 2022.08.07 |
"이런 사람들이 보이스 피싱범한테 인기 많습니다." 당신은 어떨까요? 지금 확인해보세요. (+대처 방법) (0) | 2022.08.02 |
"무료로 명의 도용 확인해보세요." 무관심한 자만이 도용 당합니다. (+조회 방법) (0) | 2022.08.01 |
"모르면 나만 손해" 8월부터 시행되는 정부 지원금 혜택 9가지 (0) | 2022.07.29 |
댓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