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기타

도로 위 마름모의 진짜 정체

이 청년의 지식공방 2022. 4. 3. 01:19

 

 

 

 

도로 위 마름모 표시, 의미는?

운전하다가 도로 위 바닥에 마름모 표시를 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표시의 의미를 아는 사람들은 거의 없을 텐데요. 

 

 

도로 위 마름표 표시 의미는 "30~50m 전방에 횡단보도가 있으니 속도를 줄여라"는 의미입니다. 그러니 운전을 하다 마름모 표시가 보이면 무시하지 말고 속도를 줄이고 안전 운전을 해야겠죠? 

 

 

비보호 좌회전, 이럴 때만 가능합니다.

비보호 좌회전도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실텐데요. 비보호 좌회전은 좌회전 신호가 안 켜져도 차량 혹은 사람이 없을 때 좌회전이 허용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만, 신호가 녹색일 경우에만 가능한데요. 적색 신호에 좌회전을 하게 되면 교통법규 위반사항에 해당되니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녹색 신호 적색 신호
비보호 좌회전 가능 불가능

 

 

 

 

원형 교차로

차량의 원활한 교통 흐름을 위해서 설치 된 원형 교차로를 한번쯤 보셨을 겁니다. 진입하는 차량이 많은 만큼 사고도 많이 발생하는데요.

 

원형 안에서 회전중인 차량이 우선이기 때문에 좌측 방향에 차량이 오는지 잘 확인하고 진입해야 합니다. 무리하게 진입하여 사고 발생 시 과실 비율이 더 높게 나오니 주의해야겠죠? 

 

 

 

속도위반 카메라, 몇키로부터?

속도위반 카메라를 지나다 보면 옆 차선의 차량은 규정 속도를 넘어 빠르게 주행하는 것을 보셨을 겁니다. 우리는 그 차량을 보고 "딱지 안 날아가나?" 생각을 하게 되는데요.

 

사실은 이렇습니다.

 

규정속도

  • 100km/h 구간은 20km
  • 70~99km/h 구간에서는 15km
  • 60km 이하인 도로에서는 10km

오버돼도 단속되지 않는다고 하는데요. 대략 규정속도의 20% 내라고 생각하면 기억하기 쉬울 겁니다.

 

단, 도로마다 규정속도 범위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정보는 운전 중 감시카메라를 미처 보지 못하고 무리하게 속도를 줄이지 말라는 의미에서 알려드리는 것이니 과속 운전을 하면 절대 안 됩니다.

 

 

우회전 보행 신호, 꼭 지켜야 할까?

운전자들이 가장 많이 헷갈리는 우회전 보행 신호는 꼭 지켜야 할까요?

 

우회전하기 전에 만나는 횡단보도는 보행신호 시 진입하면 당연히 위반상황입니다. 하지만, 우회전하고 만나는 횡단보도는 신호위반이 아니기 때문에 보행자를 방해하지 않는 선에서 지나갈 수 있습니다. 다만, 사고 발생 시 100% 운전자에게 있으니 조심 또 조심해야겠죠.

 

 

또한, 올해 2022년 1월 1일부터 횡단보도 우회전 단속이 아래와 같이 변경된다고 하니 아직 보지 못한 분들은 꼭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2022년 1월 1일 횡단보도 우회전 단속, 이렇게 바뀝니다.

 

2022년 1월 1일 횡단보도 우회전 단속, 이렇게 바뀝니다.

횡단보도 우회전 단속 변경 사항(2022년 1월 1일 이후 적용) 최근 운전자들 사이에서 뜨거운 주제인 2022년 1월 1일부터 변경되는 횡단보도 우회전 단속에 알아보겠습니다. 현행법 기존 현행법상 횡

l-ee.tistory.com

 

다른 사람들이 좋아하는 글

 

여기서 좌측 깜빡이 켜면 절대 안됩니다. 제발 헷갈리지 마세요.

 

여기서 좌측 깜빡이 켜면 절대 안됩니다. 제발 헷갈리지 마세요.

타국가에 비하면 우리나라 면허 취득 난이도는 굉장히 쉽습니다. 쉬운 만큼 사고 발생률과 실수가 많은 편인데요. 그중에서 오늘은 많은 운전자가 헷갈리는 우회전 수직 도로 진입 시 어느 깜빡

l-ee.tistory.com

 

주차딱지, 주차단속 피하는 방법 (ft. 택시기사만 아는 팁)

 

주차딱지, 주차단속 피하는 방법 (ft. 택시기사만 아는 팁)

대한민국의 단점을 굳이 뽑자면 면적이 너무 좁습니다. 차를 타고 어디를 갈 때 주차할 장소가 없으면 갓길에 대는 경우가 굉장히 많은데요. 운이 나쁘면 주차단속 시간대에 걸려 과태료를 내거

l-ee.tistory.com

 

댓글
반응형